언리얼엔진에서 제공해주는 기본 VR 템플릿의 텔레포트 기능을 다른맵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언리얼을 조금 많이 다뤄보고, VR을 좀 만져보신분들은 그거 모르는사람이 어디있어? 하실수도 있으시겠는데..
오늘까지 저도 당연하게 모든분들이 알고있을줄 알고있었던 사실이였는데, 의외로 물어보시는분들이 많더라구요 ㅋㅋ
그래서 이번기회에 한번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자, 시작 해볼까요?
일단 테스트를 할 맵은 초보자들이 한번쯤은 켜볼 Third Person Template의 기본 예제 맵입니다.
VR Template의 MotionControllerPawn을 배치하고 한번 돌아다녀봅시다.
"어.. 앙.. 앙대자나?"
위의 사진과 같이, 실제로 참 간단하게 이동할수있을거같았던 VR Template의 맵과 비슷하게 생긴 Third Person Template 맵인데 왜 예쁜 곡선 텔레포트가 생성이 안될까요..??
정답은 바로 "네비 매쉬"입니다.
그렇습니다. <P>키를 눌러보면 네비매쉬를 확인할수있는데, Third Person 맵은 네비매쉬가 설치되지않아서 네비게이션이 되지않는거였습니다. 그에 반해서 VR Template 맵은 네비매쉬가 생성되어 있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자 이쯤이면 의문이 생기지 않을수가 없습니다.
"아니 네비매쉬 그거 AI 움직일수있는 범위 지정할때만 쓰는거아니였어?!"
-> 저도 처음에는 네비매쉬를 사용한 이동방식은 처음봤습니다. 하지만 내부를 뜯어보니, Path를 예측하는 노드를 기반으로 네비매쉬의 텔레포트할 지점을 투영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있었습니다. 여기에 네비매쉬가 있는지 없는지 검사를해서 네비매쉬가 없으면 텔레포트를 못하도록 막아두는 형식으로 되어있더군요. <자세한설명을 못드려서 죄송합니다>
여하튼 정답이 네비매쉬인걸 알았으니 이제 한번 적용해봅시다.
이부분은 AI를 다뤄보신분들이라면 아주 쉽게 적용이 가능할텐데요, AI를 안다뤄본 초보분들은 안해봤어도 겁안먹으셔도됩니다.
아.주.쉽.습.니.다
거짓말이아니라 정말로 쉽습니다.
<모드 탭>의 <불륨 탭>을 눌러보시면 중간보다 아래쪽에 Nav Mesh Bounds Volume 이라는 액터가 있습니다.
이 액터가 바로 네비매쉬를 생성해주는 액터인데요, 이걸 그냥 끌어다가 레벨에 배치해주시면 끝입니다.
참 쉽죠?
-> 여담으로 밑에 Nav Modifier Volume의 역활은 이 액터를 네비매쉬에 설치하면 설치된 부분은 네비매쉬가 지워집니다. 그렇습니다. 지우개같은 놈입니다. Modify의 뜻이 수정하다 라는 뜻이니까요!
네비매쉬 볼륨을 설치해주신다음 그게 끝이아닙니다. 빌드 탭의 경로 빌드까지 해주신다면, 비로소 네비매쉬가 적용됩니다.
빌드해줍시다. 그렇게 하면 짠!! 아주 예쁜 녹색의 네비매쉬가 빌드 되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P키를 누르시면 네비매쉬가 정상적으로 빌드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자그럼 다시 VR로 실행해서 테스트 해보면!! 위의 이미지와 같이 예쁜 곡선을 그리면서 네비매쉬가 있는곳은 텔레포트가 가능해집니다!!
여기까지 제 공략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로 콜리전의 형태에 따라서 네비매쉬가 생성되는 모양이 천차만별이 될수도있으니까 조심해주시구요..
이부분은 책..책임지지 않습니다!!
자 그럼 다들 즐거운 VR 개발되세요~~! ㅎㅎ
'Unreal Engine 4 > Bluepri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P] OnActorBeginOverlap 파라미터 설명 (1) | 2019.04.23 |
---|---|
[BP] AI Pawn 동적 생성시 안움직일경우 해결 방법 (0) | 2018.12.29 |
[BP] 일반 BP에서 레벨 BP로 접근하기 (0) | 2018.12.28 |
[BP] 블루프린트 비활성화, 개발 전용 설정 하는법 (0) | 2018.12.28 |
[BP] VR HMD 세팅 튜토리얼 (3인칭에서 1인칭) (0) | 2018.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