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강좌글은 4.7 버전기반이라 다른 부분이 많습니다.
2019년 기준 언리얼 엔진 4.21이 나온시점에서 VR 세팅은 따로 안해주어도 됩니다.
첫강좌로 언리얼엔진을 사용하여 VR을 적용하는 방법에대해서 한번 적어보겠습니다 
일단 HMD는 현재 나와있는 오큘러스 리프트 세팅법에 대해서 적어볼게요.
예제 탬플릿은 삼인칭 블루프린트를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엔진 버전은 최신인 4.7.6버전이구요.
결과는 오큘러스의 1인칭과 Non-VR의 토글기능을 만드는걸로 목표를 잡겠습니다.
일단 시작하면 이런 화면 이실겁니다.
여기서 1인칭으로 변환을 해줄건데요.
엄청 간단하게 변환을 해줄수있습니다.
3인칭 블루프린트폴더를 찾으신다음 저기보이시는 저 블루프린트를 들어갑니다.
저희는 오큘러스로쓸 1인칭과 일반화면의 논VR 2가지를 토글로 사용할것이니,
원래있던 FollowCamera는 그냥 냅두시고,
VR전용으로 사용할 Camera를 새로 생성하신뒤, 위의 사진처럼 캐릭터의 얼굴부분에 붙도록 세팅을 해줍니다.
카메라를 세팅하기전, 이상태로 실행하시면 매우 이상하게 보이니 일단은 실행시키지마세요 ㅋㅋ
그리고 VRCamera는 따로 세팅이 필요한데요. 저기 디테일탭에서 Use Pawn Control Rotation을 체크해주시길 바랍니다.
여기까지가 일단 기초 세팅이고, 두번째 블루프린트 부분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삼인칭 캐릭터 이벤트 블루프린트 부분에 가신뒤,
게임이 시작되면 오큘러스가 장착되어있는지 안되어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Begin Play 이벤트를 선언한다음 Enable HMD와 분기문을 선언하여 밑의 사진처럼 구성해주세요.
Enable HMD는 현재 HMD가 사용가능한지 리턴해주는 변수입니다.
HMD가 연결되어있으면 VR 카메라를 사용해야하니 체크해주세요!
그리고 현재 VR모드인지 아닌지 저장해주는 Bool형변수를 따로 선언해줍니다.
저같은경우는 VRmod라고 했습니다.
옆에 노란눈을 눌러 외부에서 편집가능하게 해주시면 레벨블루프린트에서도 사용가능하시니 참고.
자 기본적인 변수선언들은 마쳤으니, 이젠 아까 위에 설정해줫던 카메라를 세팅하는 단계입니다.
VR 카메라와 3인칭 카메라의 컴포넌트를 블루프린트를 가져오신후,
컴포넌트에서 노드를 끌어 Activate와 Deactivate를 검색한후 밑의 사진처럼 구성을 해주시면 일단 카메라 세팅 완료입니다.
카메라 세팅까지 마쳤으니 이번엔 오큘러스를 세팅해줄 차례입니다.
오큘러스 세팅은 매우매우 엄청 간단합니다.
Execute Console Command를 검색해신뒤 Command 란에 stereo on 만 치시면 오큘러스 멀티렌더링이 됩니다!
물론 off를 쓰면 꺼지겠죠?
위의 함수들을 카메라세팅해줫던 뒷부분에 붙이시기만 하시면됩니다.
이제 오큘러스가 없다면, 무조건 NonVR 모드로 들어가겠죠?
자이제 토글 기능을 만들 차례입니다.
토글 기능도 매우 매우쉽습니다.
그냥 저렇게 붙여주시면 됩니다.
그냥 저렇게 붙이시면 토글기능 됩니다. 네..
뭐라구요? 너무 쉽다구요? 네.. 언리얼이 이래서 좋습니다 ㅋㅋ
끝입니다. 이제 실행시켜서 결과를 보면,
네.. 끝났습니다 ㅋㅋ